2005-12-07
■ 대구~부산간 고속도로
1. 사업개요 및 사업방식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에 따라 착수한 고속도로사업으로 新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대표이사:노재민)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구부산간고속도로는 그동안 고질적인 정체를 보이던 기존 경부고속도로와 남해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산, 이지역의 원활한 교통소통과 운전자의 편익도모는 물론 산업발전의 본거지인 구미,대구권역과 물류유통의 대표기지인 부산권역을 최단거리로 연결, 물류이동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 사업개요
▷사업시행자 : 新대구부산고속도로(주)
▷시 공 사 : 현대산업개발(주), 금호건설(주), (주)대우건설,
두산중공업(주), 대림산업(주), SK건설(주),
(주)경동, (주)협성종합건업
▷위 치 : 대구광역시 동구(경부고속도로)동대구JCT-청도군 -밀양시-김해시 대동면(양산-구포간 고속도로)대동JCT
▷연장및차로 : 82.05km, 4차로(폭23.4m)
▷ 사업기간 : 공사기간 ⇒ 2001. 2. 12 ~ 2006. 2. 11(60개월)
운영기간 ⇒ 2006. 2. 12 ~ 2036. 2. 11(30년)
▷ 총투자비 : 25,473억원
▶ 자기자본 : 6,000억원
▶ 타인자본 : 12,415억원(외자 1억불 포함)
▶ 국고보조금 : 7,058억원
※ 총사업비 : 19,621억원
(공사비 18,264억원, ‘99년 10월 불변가)
☞ 사업방식
대구부산간 고속도로는 현대산업개발(주)의 주관 하에 국내 유수의 8개사가 컨소시움을 이루어 BTO(Build-Transfer-Operate)방식으로 추진하는 민간사업으로, 총 투자비 25,473억원을 투입하여 개통 후 30년간 통행료를 징수하는 민간투자 고속도로
2. 경제적 효과
첫째, 물류·교통 측면에서 본다면, 대구 및 부산신항만 물동량의 효율적인 수송로가 확보됨으로써 연간 4,500억원의 물류비용 절감이 기대된다. 또한 부산·대구의 도심 통과 교통량의 분산효과로 도심 교통난의 완화는 물론, 기존 경부·구마고속도로의 교통량도 분산시키는 효과도 있을 것이다.
둘째, 직접 이용하는 고객의 입장에서는 우선 대구 부산 간 거리가 경부고속도로에 비해 40km정도 단축된다. 경부고속도로의 대구-부산간 거리가 약 120km인데 비해 본 고속도로는 82km로 운행시간이 30분 이상 단축 된다. 따라서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던 대구·부산 간 운행시간이 50분 내지 1시간이면 충분하게 된다. 또한 현재 국도를 이용해서 부산 · 밀양간 1시간 20분정도 소요되는 것이 본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30분 거리가 된다. 이와같이 거리와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연료비도 절감되는데, 중형승용차 기준으로 약 6,000원을 절감할 수 있다.
3. 기타효과
본 고속도로의 건설로 영남 남부내륙지역의 경제와 관광산업 활성화를 촉진하게 된다. 영남남부 내륙지역은 그동안 교통상 어려움으로 타 지역에 비해 덜 개발된 지역이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청도 소싸움, 밀양 연극제, 아리랑대축제, 김해 가야문화제, 영남 알프스 등 문화 관광자원이 풍부한 지역으로 본 고속도로가 완공되면 접근성 향상으로 지역내 문화 관광산업이 활성화될 것이다.
4. 공법소개 및 향후전망
☞ 공법소개
대구부산간 고속도로 건설 구간은 산악과 계곡이 특히 많은 지역이다. 따라서 산악지형을 뚫고 계곡과 계곡을 연결하는 교량과 터널등 구조물이 다른 고속도로 노선보다 훨씬 많다.
교량이 104개소, 터널이 13개소로 전체노선의 40%이상인 약 33km가 교량과 터널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다양한 공법이 적용됐는데, 대표적으로 경상북도 청도군과 경상남도 밀양시를 연결하는 길이 1,300m의 고정대교를 들 수 있다. 고정대교는 교량 높이가 50여m로 높기 때문에 기존 공법만으로는 교량상판 자체에 대한 시공이 불가능하여, 교량상판 자체가 스스로 콘크리트 상판을 형성해 가는 F.C.M(Free-Cantilever Method)공법으로 시공했다. 이외에도 길이1,290m의 밀양대교는 450톤 잭 4개를 사용해서 일방향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연속압출공법)공법을 적용, 건설했는데, 장대교 건설에 I.L.M.공법이 사용되는 경우는 더러있지만 이처럼 450톤 잭 4개를 사용하여 길이 1,290m인 장대교를 건설하기는 밀양대교가 국내 최초이자 세계최초이다.
☞ 향후전망
앞으로 완공까지 남은 과제로는 고속도로 포장이나 부대공사, 운영설비 같은 하드웨어적인 부분과 ITS(지능형 교통관리시스템)나 TCS(Toll Collection System)같은 소프트웨어 부분이 남아있다.
대구부산간 고속도로의 건설과 관리운영을 책임진 회사인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는 이용고객들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최신의 설계 지침과 공법 등을 계속적으로 적용해 갈 것이며, 본 고속도로 개통후에는 사용자인 고객의 편의와 안전을 우선하는 차별화된 서비스와 사랑으로, 고객만족 우선의 최첨단 고속도로 전문 운영회사로서 국가 경제발전과 국민생활 편의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것이다.
5. 사업경위 및 노선도
☞ 사업경위
▷ 1988. 10. 27 : 고속도로 기본설계 작성 (국토개발 연구원)
▷ 1995. 3. 6 : 민자대상사업 지정
▷ 1995. 12. 30 : 시설사업기본계획 고시
▷ 1998. 3. 17 : 사업시행자 지정 [(주)대우건설]
▷ 1999. 11. 24 : 사업시행자 변경
[(주)대우건설 ☞ 현대산업개발(주)]
▷ 2000. 02. 21 :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 2000. 12. 14 :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 체결
▷ 2000. 12. 22 : 금융협약 약정
▷ 2001. 01. 11 : “대구-대동간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을
『대구-부산간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으로 명칭변경
▷ 2001. 02. 05 : 대구-부산간 고속도로(주) 법인, 밀양으로 이전
▷ 2001. 02. 12 : 착공식
▷ 2005. 01. 01 : 『대구-부산간 고속도로(주)』를
『新대구부산고속도로(주)』로 회사 명칭 변경